목록Java/JPA (3)
Lewis's Tech Keep
JPA를 하면서 좀 불만아닌 불만이랄까... 불변성 보장을 하고 싶은데 final을 쓸 수 없는 모순에 자꾸 부딪히게 된다.. (참고 링크) 일단 왜 final을 이용해 불변 객체로 만들고 싶은가 하면 특히 진행 중인 사이드 프로젝트에 web-flux 를 사용하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, web-flux는 리액티브 웹 프레임워크이며 논블로킹 리액티브 스트림을 이용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불변임을 보장하여 좀 더 안정적인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었다. 불변 객체 일 때 장점 - https://mangkyu.tistory.com/131 [Java] 불변 객체(Immutable Object) 및 final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클린코드를 읽어도, 이펙티브 자바를 읽어도, 개발을 잘하는 팀의 얘기를 들어도 항상 좋은 코..
JPA 프로젝트를 하다가 의문스러웠던 점이 있었는데 Repository 어노테이션 없이 autowired를 쓰는데 그대로 빈 주입이 잘 되는 것이었다. 빈을 등록하는 곳은 없는데 빈 주입은 가능하다는 점이 이상해서 찾아보게 되었다. repository annotation repository annotation2 spring document 위 링크들을 참고 해 보면 결론적으로는 spring boot 환경에서는 repository interface를 가지고 있는 구현체가 있으면 자동으로 빈 등록을 해주는 것이었다.
- 객체 그래프란 : 엔티티들은 보통 서로 연관되어 있는 관계를 가지고 있고 이를 연결하면 그래프로 표현이 가능하다. - 이후로 글을 더 쓰려고 이것 저것 찾아봤는데 Entity Graph 와 Objects Graph 가 같은 개념인지 아니면 다른 개념인지 그래서 JPA에 적용할 때 어떤지 없어서 보류하지만 아래 참고 링크들은 굉장히 좋은 글들이라 링크를 남겨둔다. 조금 더 정리한 후에 해보자. - 참고 링크 : https://www.entityframeworktutorial.net/entityframework6/save-entity-graph.aspx - 참고 링크 : https://engkimbs.tistory.com/835 - 참고 링크 : https://bros.tistory.com/m/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