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ewis's Tech Keep
[우아한 테크캠프][PRO][3기] 2주차 정리 - 2 본문
2주차 내가 만든 것 : JPA 기반 백엔드
set- Naming 과 같은 상태 변경 보다는 메시지로 전달해야 한다.
매개변수가 많아질 때는 정적 팩토리메서드를 고려한다.
테스트가 많아질 때는 성격에 따라 Repository와 Domain 테스트로 나눌 수 있다.
@Where annotation
@Where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면 자동적으로 where 안에 설정한 Entity를 가져올 수 있다.
(하지만 개인적으로 쪼금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.
=> 무조건 Entity가 어떤 조건을 계속 만족한다는 상태를 준다는 것 자체가 제한을 둔다는 것이고 변화에 취약해 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.)
픽스처
자주 사용하는 것들을 픽스쳐로 만든다
픽스처 올바르게 쓰기 : https://jojoldu.tistory.com/611
테스트 픽스처 올바르게 사용하기
xUnit에서는 테스트 대상 시스템 (System Under Test, 이하 SUT) 를 실행하기 위해 해줘야 하는 모든 것을 테스트 픽스처라고 부른다. 처음 테스트 코드를 배우게 되면 이 테스트 픽스처 부분에 대해서
jojoldu.tistory.com
변경 감지
JPA는 엔티티 매니저가 엔티티를 조회/저장/삭제/수정한다.
이 중 조회/저장/삭제는 API가 있는데 수정은 없다.
왜냐하면 엔티티 매니저는 변경이 일어나면 자동감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때문이다.
(= 변경 시점이 변경이 일어나는 시점이 아니라 변경이 필요한 시점까지 미루기 때문에 없다.)
깔끔한 Spring-Data-JPA 정리 글
https://joont92.github.io/jpa/Spring-Data-JPA/
[jpa] Spring Data JPA
Spring Data JPA는 스프링에서 JPA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다. 데이터 접근 계층을 개발할 때 지루하게 반복되는 CRUD 문제를 세련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해준다. CRUD 처
joont92.github.io
'Java > 우아한 테크캠프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우아한 테크캠프][PRO][3기] 3주차 정리 - 2 (0) | 2021.12.02 |
---|---|
[우아한 테크캠프][PRO][3기] 3주차 정리 - 1 (0) | 2021.12.02 |
[우아한 테크캠프][PRO][3기] 2주차 정리 - 1 (0) | 2021.11.13 |
[우아한 테크캠프][PRO][3기] 1주차 정리 - 4 (0) | 2021.11.10 |
[우아한 테크캠프][PRO][3기] 1주차 정리 - 3 (0) | 2021.11.09 |